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동차 양수
- 강사료
- 자동차 매매
- 자동차 양도서류
- 강사 시급
- 강사 급여
- 강사 하는 일
- 복지관강사
- 중고차명의이전
- 타자연습 프로그램
- 나이관련 속담
- 영자신문 저작권
- 자동차등록령
- 영어자막 사이트
- 영어 자막
- 자동차 양도
- 자동차명의이전
- 자동차 매매서류
- 자막보기
- 자동차 소유권이전
- 나이속담
- 경제개발협력기구
- 넷북과 노트북의 차이
- 자동차등록증
- 자동차등록사업소
- 이혼률
- 컴퓨터 강사
- 한메타자교사
- 과세표준액
- 영어대본
- Today
- Total
목록일상 (93)
왕대박
오른손잡이가 왼손으로 음식 먹으면 다이어트가 된다 평소에 사용하는 손과 반대의 손으로 음식을 먹으면 적게 먹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우리사람 대부분 오른손 잡이 일 텐데 왼손으로 먹으면 숟가락, 젓가락질이 익숙하지 못하니까 빨리 먹게 되지는 못할 것이다. (그리고 안 쓰는 근육을 조금은 사용하게도 될 텐데 이것은 효과가 거의 없다고 본다.) 그런데 문제는 필자와 같은 양손잡이라면 ㅎ 어떤 손으로 먹어도 먹는 속도가 느리지는 않을 텐데 그건 함정이다. 그리고 빵을 먹을 때처럼 젓가락, 숟가락도 없이 손으로 먹게 되면 참을성이 부족해서 원래 먹던 손으로 먹게 되면... 이 방법은 소용이 없다. 어떤 방법이든 살을 빼는 방법은 인내와 강한 의지가 필요한 것 같다.
결혼상대로 피해야 할 유형 음식 남기는 사람 금수저로 살았거나 몸이 특별히 아픈 데가 없다면 먹는 것을 남기는 사람은 문제가 있는 사람이다. 필자는 언젠가 음식점을 하시는 분을 알게 되었는데... 그분은 아들처럼 필자를 대해주시고 식당에 초대해서 맛있는 음식을 만들어서 주셨다. 필자는 그런데 그때는 하필 배가 고프지 않아서 많이 먹을 수가 없었다. 하지만 그분의 표정을 보면 필자를 넉넉하게 먹게 하려고 음식을 많이 준비하시는 것이었다. 즐거운 표정으로 요리를 하시는 것 같은데 그렇지만 시간과 공을 들여서 만드신 음식을 남기는 것은 예의도 아니고 필자의 기준으로 용납할 수도 없는 일이었다. 그래서 그분에게 미리 말씀을 드렸다. 몇시간전에 뭘 좀 먹었는데 배가 많이 고프지 않아서 많이 먹을 수가 없는데 그러..
말끊는 사람들 때문에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말자 요즘 TV프로그램을 보면 대화하는 것도 연습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강사나 전문가를 초대해서 강연을 듣는 프로그램인데 사회자들이 자꾸 강연자의 말을 끊는 모습을 본다. 정말 듣고 싶은 말이 있는데 사회자들이 시시한 농담이나 하면서 말을 끊으면 강연자는 하고 싶었던 말의 흐름을 놓치게 된다. 정말 대화하는 방법도 모르고 사회를 보는 사람들이 많다. 정말 보고 싶고 또 보고 있는 TV프로그램인데 그렇게 방송을 진행하니 정말 실망이 크다. 다른 시청자들도 그렇게 생각하는지 게시판에 글이 올린다. 방송 제작자들이 생각이 있다면 시청자의 의견에 귀를 기울였으면 좋겠다. 말을 끊는 사람은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다. 어릴 때, 학교에서나 또는 사회에 나와서도 어디에..
사람을 믿지 못하는 성격 왜 그렇게 된 것일까 살다보면 정말 사람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이 보인다. 글쎄다. 그 사람들이 잘못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그 사람들... 얼마나 많은 배신과 속임수에 당했으면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을까 하는 안타까움이 들기도 한다. 세상엔 정말 이기적이고 남을 이용해 먹는 나쁜 인간들 많다. 인생이 잘 풀려서 그런 사람들 많이 만나지 않고 살아왔다면 가치관이 좀 더 긍정적이 될 수도 있었을 텐데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그걸 운명이라고 하는지 모르겠지만 그렇게 살아온 사람들은 사람을 믿지 못하고 친구를 사귀지도 못한다. 그런 가치관으로 살아간다면 정말 좋은 사람이 다가온다고 해도 알아보지 못하고 밀어낼 것이다. 이런 사람에게 행복이 있을까 사람을 믿는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