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대박

동문서답의 뜻 본문

일상

동문서답의 뜻

디디(didi) 2016. 3. 21. 04:05
반응형

동문서답의 뜻이 무엇일까

가끔 사전을 보면 풀이가 이해가 안될 때가 있다.

 

예전에 어느 코미디 프로그램에서는 이 속담을 이렇게 해석을  하는 것이었다.

동쪽에서 문을 닫으니까 서쪽에서 답답해 한다 ~~ ㅎㅎ

 

동문서답의 사전 풀이를 보면

동쪽을 물으니 서쪽을 답 한다. 라고 한다.

필자는 이 풀이도 동문서답이라는 생각이 든다.

 

만약 어린이가 이 사자성어가 무슨 뜻이냐고 묻는다면 그냥 이렇게 대답하면 될까

 

(필자는 터치펜을 이용해 필기 어플에서 한자쓰기 연습을 한다)

 

질문을 했는데 그것과 관계 없는 엉뚱한 답변을 하는 것을 동문서답이라고 한단다.  (만족)

 

질문 : 그럼 그렇게 말하면 되지 왜 동문서답이라고 해요

답변 : ~~ ㅠ

 

동문서답을 이렇게 풀이해주면 좀더 이해가 쉽지 않을까

동쪽으로 가는 길을 물었는데 서쪽으로 가는 길을 알려준다.

 

검색을 해보니  동문서답에 관련된 이야기 많은 것 같다

 

동문서답하는

 

엄마 아빠 아이들

남편 아내

정치인

 

등등 말이다

 

물론 정치인들은 동문서답하는 것이 예술의 경지다.

 

동문서답의 예를 볼까

 

질문: 돈을 받았나요?

답변 : 그 사람  한번도 본적도 없어요

 

아까 어떤 글을 보니까 이런 이야기도 있었다

국어 공부를 얼마나 안 했으면 동문서답을 하느냐 말이다.

 

질문 : 배고프니

답변 : 잠 와요 (그래서 배고프냐고)

 

질: 언제 오니

답: 일하고 있어요 (그래서 언제 오냐고)

 

질: 뭐하니

답: 밖이요( 그니까 뭐하냐고)

 

질: 어디야

답:  밥 먹어 (그니까 어디냐고)

 

 

필자는 가능한 이런 표현을 쓰려고  한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동문서답을 하면 조금 생각해 가며 이해를 하려고 한다

 

질: 이것 맛있니

답: 배 고파요

 

질문에 대한 답은 2가지로 해석할 수 있을까요

1. 배가 고프니깐 다 맛이 있다  (맛에 대한 평가를 하지 않음)

2. 맛은 별로지만 그냥 그렇게 말하기는 미안하니깐 배고파서 맛있다고 함

 

동문서답을 하는 경우는 정말 표현을  못해서 그런 것일 수도 있는데 답변하기 싫어서 애매하게 말을 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다.

 

사람은 다 똑같은 것 같다.

여기에 있는 내용이 유치한 것 같아도 사람들 나이를 먹어도 이런 대화를 많이 한다.

 

질문: 나 좋아해요

답변: 자꾸 생각나 (그니깐 좋아하냐고)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