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동차 소유권이전
- 자동차 매매서류
- 자동차 양수
- 넷북과 노트북의 차이
- 한메타자교사
- 과세표준액
- 영어자막 사이트
- 자동차등록령
- 중고차명의이전
- 경제개발협력기구
- 강사료
- 영어대본
- 타자연습 프로그램
- 자동차등록사업소
- 자동차명의이전
- 강사 시급
- 영어 자막
- 자동차 양도서류
- 영자신문 저작권
- 이혼률
- 자동차 양도
- 컴퓨터 강사
- 복지관강사
- 강사 급여
- 나이관련 속담
- 나이속담
- 자동차 매매
- 자동차등록증
- 강사 하는 일
- 자막보기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312)
왕대박
필자는 학창시절에 알바로 노가다를 했어요 오래전인데 그땐 일당 6만원에 인력소 수수료 10%(6000원) 해서 54000원을 받았죠 근데 얼마 전부터 친구가 사업을 그만두고 인력소개서에서 일을 하고 있는데요 요즘 노가다 일당은 10만원인데 수수료 빼고 9만원을 받는다고 하네요 근데 야근을 할 때는 하루에 17~18만원 정도 받고 일을 하더군요 일이 많아서 그런지 야근(잔업)도 꽤 많이 하는 편이더군요 근데 이 친구가 요즘엔 인력사무소 사장에게 잘 보여서 그런지(한달 30일이면 30일을 일함) 성실하고 일을 잘하는 친구라서 사장이 일을 잘 챙겨주는 것 같아요 요즘엔 일당 13만원 받고 일을 하고 있다고 하네요 인력사무소 나가도 하루 벌고 그 돈으로 술 마시고 다 써버리는 사람들 많아요 완전 하루살이죠. 근..
수험생이라면 아마도 불피법 (불합격을 피하는 법)이란 책을 알 것이다. 이 책은 서울대 공대를 나와서 사법고시에 합격한 최규호 변호사가 썼다. 그 역시 사법고시 공부를 하면서 시행착오를 많이 했다고 하는데 이 책에서는 그가 공부하면서 터득한 공부 노하우와 그리고 시험에 합격하기 위한 수험생의 생활자세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책 내용은 수험생의 일기를 보는 것 처럼 미주알 고주알 이런 저런 이야기들이 많다. 근데 저자가 정말 강조하는 것은 공부법이라기보다는 공부하는 사람의 생활자세다. 시험에 빨리 합격하는 방법은 오직 시험만 생각하는 것이고 지독하게 공부하는 방법 밖에는 없다는 것이다. 친구, 인터넷, 문화생활 같은 것은 모두 포기하고 공부에 전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규칙적인 생활로 공..
바퀴벌레나 개미 같은 게 집에서 기어 다니면 누구라도 정말 싫을 겁니다. 필자도 정말 싫어 하구요 그런데 이런 벌레, 해충을 없애는 것은 쉽지가 않죠. 그런데 검색을 해보니 붕산을 이용하면 효과가 좋다고 해서 필자도 해보기로 했습니다. 사실 얼마 전에 집에서 기어 다니는 개미가 피부를 물어서 빨갛게 붇고 아팠던 적이 있는데 그 다음날 바로 약국에 가서 붕산을 구입했습니다. 필자가 사는 곳에서는 붕산 작은 포장 1개가 1000원이더군요 아무튼 재료를 (붕산, 계란 노른자 삶은 것) 준비하고 설명에 나온 데로 재료를 열심히 섞었습니다. 붕산은 살균 소독제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걸 먹은 해충은 몸에서 탈수 작용을 일어나 결국 죽는다고 합니다. 근데 자기가 먹은 것을 다른 해충과 나눠 먹으니 연쇄 효과가 있다고..
좋은 책 한권을 소개 할까 하는데요 책 제목은 원리한자로 깨치는 한국사 암기노트 입니다. 저자는 박홍균이구요 이분은 하나를 알면 열을 깨치는 원리한자 라는 책도 쓰셨어요. 이 책은 완전한 국사 시험 대비용 책이라 하기보다는 한자 용어 풀이를 통해서 역사 교과서에 나오는 용어를 쉽게 이해할 수도 있도록 해주는 책입니다. 아시다시피 국사를 배울 땐 엄청나게 많은 용어들이 나오는데요. 정치 경제 사회 제도, 인물(왕의 이름 등), 문화유산, 지명 같은 것들인데 이런 용어들이 역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어들인 경우가 많죠. 근데 문제는 이런 용어들이 대부분 한자어로 되어 있다는 겁니다. 우리나라가 한자 문화권에서 속해 있기 때문에 당연한 것이기는 하지만 이 한자가 무슨 뜻인지 이해하기는 정말 어려운 일입니다. ..